10월, 2017의 게시물 표시

국민은행에서 전자세금용 공인인증서 받기

이미지
개인 공인인증서는 있었지만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하려면 사업자용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된다고 한다. 어떻게 발급받아야 되나 찾아보니 은행가서 발급받으면 된다고 한다. 그래서 SC제일은행을 갔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해야되서 사업자용 공인인증서 만들러 왔습니다" "저희 은행은 사업자용 공인인증서 발급 안합니다" 헉. "그럼 어디로 가야 되나요?"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 .. 등 으로 가셔야 합니다" 아 날씨도 더웠는데 헛탕쳤다. 그래서 국민은행으로 갔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해야되서 사업자용 공인인증서 만들러 왔습니다" 사업자등록증과 신분증을 필수로 가져가야 된다. 난 사업자등록증을 사진찍어 갔는데 받아주는 사람도 있고 안받아주는 사람도 있다. 서류를 적었고 사업자용 통장도 만들었다. 그리고 OTP도 만들었다. OTP발급 비용이 5000원 정도 들었던것 같다. 이제 발급받은 OTP로 집이든 어디든 PC 앞에 앉아서 인증서를 받으면 된다. 사실 PC가 아니더라도 모바일, 스마트폰에서도 해당은행 앱을 깔아서 인증서 발급받을 수 있다. 그럼 PC <-> 스마트폰 복사하는 기능도 있어서 쉽게 인증서 복제도 가능하다. 앱에서도 발급받을 수 있지만 앱에서 캡처가 안되서 PC기반으로 설명한다. 국민은행 사이트 접속한다.

세무서 가서 부가가치세 신고 후기

누구나 다 그렇듯이 세금에 대해 전혀 몰랐다. 부가가치세는 왜 있어서 이렇게 사람들을 피곤하게 하는지.. 사업에 신경써야 되는데 세금 신경쓰다가 사업 말아 먹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렇게 복잡하게 해놔야 세무사들이 먹고 살 수 있게 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그냥 세무사한테 의뢰 할까 하다가 세무대행 수수료가 하늘일에 비해서 너무 비싼거 같고 리스크는 내가 다 감당하는데 아무런 걱정없이 수수료만 받아가는게 짜증이 났다. 그래서 처음부터 황미애과장한테 난 세무대행 안하고 내가 직접 전자신고 할테니까 그렇게 진행해달라고 했다. 그래서 셀프부가가치세 신고 관련 유튜브 동영상도 보고 인터넷 검색도 해봤는데 봐도 잘 모르겠고 이해가 안갔다. 그러다 황미애 과장한테 전화가 왔다. "1기분 부가세 신고해야 되는데 세금계산서 댁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전자신고 하신다고 했는데 늦게 연락해서 죄송합니다. 이번에는 전자신고 기간이 끝나서 할수없이 종이로 발급했고 이것을 신고기간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다음부터는 직접 세금계산서 발급을 해주셔야 합니다." 전자신고 해볼려고 했는데 할 수 없이 종이로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받았다. 세금계산서가 뭔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그 종이 하나 들고 무작정 영등포세무서로 갔다. 예전에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할때 남대문 세무서와 제주세무서를 가봤는데 사람이 엄청 많았다. 한 1시간정도 대기했었던것 같다. 그런데 부가세신고는 처음해보는데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 종합소득세 신고때처럼 번호표를 받고 한 5분 정도 되니 내차례가 왔다. 젋은 공무원이였고 신입처럼 보였는데 그래서인지 친절했다. 세금계산서를 보여주면서 "뭐 이거 신고하라고 하던데요?" "부가세가 뭐길래 이렇게 사람을 힘들게 합니까? 그냥 부가세 안받을테니 부가세 떼고 받으면 안되겠습니까?" "세법상 안됩니다. 저는 법대로 집...

종이 세금계산서로 세무서가서 부가가치세 신고 후기

누구나 다 그렇듯이 세금에 대해 전혀 몰랐다. 부가가치세는 왜 있어서 이렇게 사람들을 피곤하게 하는지.. 사업에 신경써야 되는데 세금 신경쓰다가 사업 말아 먹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렇게 복잡하게 해놔야 세무사들이 먹고 살 수 있게 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그냥 세무사한테 의뢰 할까 하다가 세무대행 수수료가 하늘일에 비해서 너무 비싼거 같고 리스크는 내가 다 감당하는데 아무런 걱정없이 수수료만 받아가는게 짜증이 났다. 그래서 처음부터 황미애과장한테 난 세무대행 안하고 내가 직접 전자신고 할테니까 그렇게 진행해달라고 했다. 그래서 유튜브 동영상도 보고 인터넷 검색도 해봤는데 봐도 잘 모르겠고 이해가 안갔다. 그러다 황미애 과장한테 전화가 왔다. "1기분 부가세 신고해야 되는데 세금계산서 댁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전자신고 하신다고 했는데 늦게 연락해서 죄송합니다. 이번에는 전자신고 기간이 끝나서 할수없이 종이로 발급했고 이것을 신고기간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다음부터는 직접 세금계산서 발급을 해주셔야 합니다." 전자신고 해볼려고 했는데 할 수 없이 종이로된 전자세금계산서를 받았다. 세금계산서가 뭔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그 종이 하나 들고 무작정 영등포세무서로 갔다. 예전에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할때 남대문 세무서와 제주세무서를 가봤는데 사람이 엄청 많았다. 한 1시간정도 대기했었던것 같다. 그런데 부가세신고는 처음해보는데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 종합소득세 신고때처럼 번호표를 받고 한 5분 정도 되니 내차례가 왔다. 젋은 공무원이였고 신입처럼 보였는데 그래서인지 친절했다. 세금계산서를 보여주면서 "뭐 이거 신고하라고 하던데요?" 그러더니 홈택스 사이트 들어가서 나 대신 신고해줬다. 세금계산서가 1장이라서 한번하고 끝났다 ㅡㅡ;; (나참 이거하러 여기까지 왔나...) 전자신고해줘서 고맙다고 만원도 할인되었다....

포토샵으로 여권사진 만들기

이미지
사진관 가기도 힘들고 비용도 많이 나와서 포토샵으로 여권사진 만들기에 도전했다. 첫번째는 실패.. 나름 인터넷(네이버) 찾아서 한다고 했는데 사진관 가서 인화 하려고 했더니 화질도 깨지고 사이즈도 안맞는다고 함. 그래서 다시 구글에서 검색해서 괜찮은 블로그를 찾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gedarae&logNo=220727056650&parentCategoryNo=&categoryNo=18&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위의 블로그 내용과 나의 경험을 섞어서 재구성함. 먼저 사진을 찍는다. 배경을 하얗게 해서.. 완전히 하야지 않아도 하얀 비스무레라도 되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배경을 흰색을로 할때 포토샵의 paint bucket을 이용하면 쉽게 배경을 하얗게 만들 수 있다. 이미지를 불러와서 크롭툴로 사이즈를 맞춰준다. 이걸 해야지 뒤에 이미지 크기 줄일때 3.5, 4.5 로 줄일 수 있다. 이걸 안하면 이미지 사이즈 맞출때 안된다. 불러온 이미지를 위에처럼 자른다. 이미지 사이즈와 Resolution을 300으로 꼭 해줘야 한다. 아무 생각없이 75인가로 했더니 사진관에서 인화하려고 했을때 깨졌다.. ㅜㅜ 그리고 나서 Ctrl+N 혹은 파일->새로만들기로 해서 폭 4 인치 높이 6인치 해상도 300 픽셀/인치로 만든다. 그리고 작업한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된다. 6장이 들어간다. 그 이상들어가거나 그 이하가 들어가면 위의 작업을 잘못한거라 사진관 인화하러가면 안될것이다.. 헛발질 하지 않으려면 해상도 300을 꼭 지켜야 한다. 즉, 인화하려면 사진 크키가 꽤 커야 한다. 사진 크기가 작다면 보는데는 지장 없지만 인화할떄 깨질것이다.

현금영수증 자진발급분 소비자 등록 하는 방법

이미지
현금결제할 때 그 자리에서 현금영수증을 발급 안해도 영수증만 받아 나중에 국세청 사이트에서 등록할 수 있다. 현금영수증 자진발급분 소비자 등록발급방법을 알아보자. 대한민국 국민이 많이 쓰는 네이버에서 현금영수증 쳐서 들어간다. 그럼 hometax.go.kr 로 들어갈 것이고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여기서 가장 처음에 있는 조회 /발급 버튼을 클릭한다. 조회/발급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현금영수증 수정 -> 자진발급분 소비자 등록을 클릭한다. 로그인을 안했으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라고 나온다. 현금영수증 등록은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가능하다. 공인인증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영수증에 있는 그대로 입력하고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3개의 값이 다 맞으면 조회결과가 나오고 하나라도 입력이 잘못되면 조회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조회결과를 확인하고 맞으면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위와 같이 한번더 물어본다.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등록이 완료된다.